
건진국수. 이름이 생소할 수도 있다. 안동이 국수로 유명하기는 하지만, 건진국수는 그리 많이 알려진 음식은 아니기 때문이다. 고풍스런 한옥이 떠오르는 안동. 시원한 대청마루에서 후루룩 맛보는 건진국수의 시원하고 담백한 맛. 고택 옥연정사에 마실 온 박재숙 할머니가 옛 맛을 살려 반죽을 밀고, 국수를 삶아 안동 국수를 선보였다. 한 그릇의 건진국수가 나오기까지 오랜 인내와 정성이 들어간다. 옥연정사 대청마루에서 맛 본, 건진국수. 그 반죽만들기부터 후루룩 국수를 맛보기까지의 여정에 동참해 보심은 어떨는지

“스물 두 살, 시집와서 여태 42년 동안 몸서리치게 살았지."안동 저우리 마을 반장님, 박재숙(63) 할머니에게 언제부터 이곳에 살았느냐 물었더니 돌아 온 대답이다. 꽃다운 젊음을 이 곳에서 보낸 박씨는 어릴 때부터 건진국수를 먹고 자랐다며 유년시절을 회상했다. 무더운 여름날 들로, 밭으로 나가 놀다가 해가 어둑어둑 질 때 쯤이면, 박씨의 할머니는 건진국수를 해 놓고 손녀를 기다리고 있었다고.



“손국수는 얇아야 맛있지.”박씨는 1미터가 넘는 긴 암반 위에 반죽을 올려놓고 손으로 주무르고, 치대고 또 주무르기를 한 참. “홍두깨랑 암반은 길어야 해. 그래야 긴 면을 뽑아내지” 두 팔을 벌린 길이만큼이나 긴 홍두깨를 암반 위 반죽 위로 슥슥 문지르며 박씨는 이 같이 말한다. 또한 홍두깨는 박달나무 혹은 대추나무 등으로 만든다. 그래야만 무거워서 반죽을 밀 때 힘이 더해지기 때문. 홍두깨를 양손에 잡고 반죽을 밀기 시작하는 박씨.



“예전엔 여기 은어가 많이 잡혔대요. 근데 지금은 은어 구경하기는 힘들다고 하대요.”김정희씨가 폭우로 밤새 불어난 낙동강 물을 보며 은어 이야기를 꺼낸다. 예전엔 낙동강에은어가 많이 살아서 은어를 석빙고에 저장했다가 임금님께 진상을 할 정도였다고 한다. 석빙고란 안동에 자리한 저장고로서, 여름에 얼음을 보관할 수 있을만큼 차가운 장소이다. 그래서 본래 안동 건진국수의 육수는 은어를 푹 고아 만들었다. 안동의 여느 음식점에서는 아직도 은어 말린 것을 고아 육수를 낸다고도 하지만, 요즘엔 은어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만큼이나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그 대신 쉽게 구할 수 있는 닭이나, 다시마, 멸치 등으로 육수를 낸다. 박씨는 닭과 무, 다시마 등을 푹 삶았다. 언제까지? 닭이 흐물흐물해 질 때까지. 이렇게 우려 낸 물을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식힌다.





이제 고명을 얹을 차례. 고명은 네 다섯 가지로 하되, 이왕이면 색을 낼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달걀은 흰자와 노른자를 갈라 지져내고, 쇠고기, 당근 혹은 김치 등 오색을 낼 수 있는 것을 고명으로 얹어 눈부터 입맛을 돋운다. 이제 남은 것은 건진국수를 그릇에 담고 그 위에 고명을 얹은 후, 찬 육수를 고명이 흐트러지지 않게 붓는 일. 고택 옥연정사에 박씨와 김상철씨 부부, 그리고 기자가 상을 펴고 앉았다. 마침 간 밤에 내린 비 덕분에 시원한 바람이 상머리에 머물다 간다. 건진국수 앞에 앉은 그들, 담담한 대화에 별 특별할 것 없는 언변일지라도, 후루룩 국수 먹는 소리로 이웃의 정을 나눈다. 우선 젓가락을 들어 사리로 만들어진 국수를 헤집어 국물에 잘 섞는다. 그리고는 후루룩 입 속으로. 담백하고 시원한 맛이 냉면과는 또 다른 느낌이다. 얇고 고운 면이 냉면만큼은 아니지만, 입 안에서 제법 쫄깃하다. 시원한 육수와 고명 그리고 국수. 그 삼박자가 제대로 갖춰졌다. 오랜만에 먹어보는 이 맛, 바로 정성이다.



옥연정사는 420여 년 된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고택으로서, 서애 선생이 기거하던 곳이다. 고택 지킴이 김정희씨, 김상철씨 부부는 이 곳 옥연정사에서 3년여 동안 살아왔다. 그러다가 문중의 권유로 1년 여 전부터 고택 스테이를 시작했다. 고택 체험은 고택에서 숙박을 하면서 고즈넉한 한옥을 체험하는 것이다. 이 곳은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아 조용하고, 위치 또한 화천서원에서도 더 깊숙이 들어가 있어서 고즈넉함을 즐기기엔 그만이다. 고택 앞으로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의 물살은 지친 마음도 그 물살에 실어 보낼 수 있을 것처럼 평안하다. 이 곳이 특이한 점은, 아침은 모두가 모여서 식사를 한다는 점이다. 각각 다른 사연으로 다른 경로를 통해 온 낯선 손님들이 아침에는 모두 한 가족처럼 둘러 앉아 밥을 먹고, 이야기를 나눈다. 그래서 이 곳에는 방마다 방명록이 마련돼 있다. 하고싶은말, 느낀 점 등을 일기처럼, 또는 낙서처럼 편안하게 끄적일 수 있는 지면을 김씨 부부가 배려한 것. 여름에는 김상철씨가 고택을 찾은 가족 중에서 어린이들과 함께 반딧불이를 보러 가거나, 이름 모를 들풀들의 이름을 가르쳐 주기도 한다.

- 글·사진 : 한국관광공사 국내온라인팀




겸암 류운룡 선생의 학덕을 흠모한 유림이 이곳에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정조 10년 (1786) 에 세운 서원이다. 정조 10년(1786)에 건립하여 9월에 겸암 류운룡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자인 동리(東籬) 김윤안(金允安, 1560~1620) 공과 종손자인 졸재(拙齋) 류원지 (柳元之, 1598~1674)공을 배향시켜 100여년 이상 춘추로 향사를 지내오다가 대원군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 서원의 훼철을 아쉬워하던 후손들은 1966년부터 기금을 모아 건물을 짓고 사림들의 공론을 모아 1996년 5월 2일 복설고유(復設告由)를 거행하였다.


하회마을은 풍산 류(柳)씨가 대대로 살아 오던 전형적인 집성촌으로 한국 전통가옥의 미(美)가 살아 숨쉬는 마을이다. 조선시대의 대유학자 겸암 류운룡 선생과 서애 류성룡선생이 태어난 곳이기도 한 안동 하회마을은 1999년 4월 21일에는 방한 3일째였던 영국 엘리자베스2세 여왕이 한국 전통의 고장으로서 방문하여 더욱 유명해졌다.


우리 조상들의 전통적인 생활양식과 문화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하회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안동한지는 우리 고유의 멋과 얼이 간직된 전통 한지 생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조상들의 숨결이 살아 숨쉬고, 학생들에게는 학습의 장(場)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안동한지는 안동의 관광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
- 신설법인닷컴 (www.SinSeol.com) / 신설법인기업 마케팅용 DM 우편홍보물 발송전문
※ 매주 신설법인 & 신규법인 리스트 제공, 5초만에 출력하는 신설법인 DM리스트 (우편홍보물) 주소라벨 바로출력 DM발송 !!
- 법인기업의 성공파트너, 법인넷 (www.BeobiN.net) / "법인기업 비지니스 사업 커뮤니티"
- 법인넷 페이스북 (www.fb.com/BeobiNnet) / 법인넷 트위터 (www.twitter.com/BeobiNnet)
[출처] 법인넷 - http://www.beobin.net/bbs/board.php?bo_table=33_02&wr_id=302
[AD] 법인기업 세무회계법률상담, 법인기업 SNS 블로그 마케팅 홍보 - 법인넷 (www.BeobiN.net)
[AD] 법인몰, 법인회원 전용 쇼핑몰, 중소기업복지몰, 기업 특판 - 법인몰 (www.BeobinMall.com)
[AD] 신설법인 신규기업 마케팅용 DM 우편홍보물 발송전문 - 신설법인닷컴 (www.SinSeol.com)
[AD] 홈페이지, 쇼핑몰 제작, 유지보수, 웹 호스팅, 도메인 - 케듀존닷컴 (www.KeduZone.com)
[AD] 노량진 수산시장, 횟집맛집, 학원, 고시원, 포털, 커뮤니티 - 노량진넷 (www.NoRyangJin.net)
[AD] 이안컴퓨터, 삼성SENS, LGXnote, 넷북, 노트북, 컴퓨터 구매, 쇼핑몰 - 이안컴 (www.eanpc.net)
[AD] 노량진, 신림동, 동영상 강의용 노트북 렌탈, 컴퓨터, 테블릿 PC 대여 - 노량진컴 (eanPC.Cafe)
[AD] 셀프소개팅, 사랑연애 프로포즈 좋은만남 미팅카페 - 만남카페닷컴 (www.ManNamCafe.com)
[AD] 온라인쇼핑몰, 신선농산물 최저가세일, 생활용품 할인판매 - 신선한마트 (www.SSHMart.com)
[AD]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dHmK, 명품패션몰, 시계, 향수, 정품 - DHMK 쇼핑몰 (www.dHmK.net)
[AD] 반값할인세일,쿠폰,티켓, 쿠팡, 티몬, 위메프, 소셜커머스 - 반값할인닷컴 (www.VanKab.com)
[AD] 주말맛집투어, 지역별 맛집 메뉴, 제철음식맛집식당 - 맛집투어닷컴 (www.MatZipTour.com)
[AD] 사업가클럽 - 벤처비즈니스, 창업마케팅, 사업아이템 - 사업가닷컴 (www.SaupGa.com.com)
[AD]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 건강원, 배즙, 양파즙, 칡즙, 녹용 - 보광건강원 (www.BKWell.com)
[AD] 경기도 안산시 영어수학 전문학원, 초중고등부 학습 - 세종영수학원 (www.SeJongStudy.com)